• 2024. 2. 12.

    by. 강주니의 슬기로운 탐구생활

     

    안녕하세요 여러분 

    현재 4차 산업, 미래 산업 등 발맞춰 최근 드론 자격증이 급부상할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그 증명으로 한국교통안전공단 원서접수 시 매주 시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마감이

    되고 있으며, 특히 지역별로 드론 학원 수강 접수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에게 "비행" 이라면 하늘을 이동하는 비행체를 보거나

    비행기에 탑승하여 편안하게 이동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사실

    "비행"은 지면에 붙어 움직이는 원동기(자동차, 오토바이 등)와 별개로 공중에서 공기의 반작용을 이용하는 장치입니다.

    그만큼 비행체를 직접 비행(조종)한다는 것은 막대한 책임감과 수많은  비행 연습이 요구되는 과정이기에 결코 쉽지 않은 자격증에 속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한번쯤은 드론 자격증 취득 목적을 가지고 계신 분 들이거나 1차 필기(학과) 시험에 합격 후 혼자서

    공부하기에는 어렵고 막막한 실기(비행)와 구술시험 준비 과정을 알기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실기&구술시험 진행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기와 구술시험 준비 전, 필기시험 단기 합격을 위한 핵심요약 ▼  

     

    2024 드론 자격증 학과(필기)시험 합격 후기(시험 일정 등 필수 정보 요약)

    여러분 안녕하세요 ~ 아마 1종 ~ 3종 드론 자격증을 고민하거나 준비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드론 학원(전문교육기관)의 등록 여부에 따라 학과(필기) 시험 면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deungsan.tistory.com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실기 & 구술시험) 

     

    실기& 구술시험에 앞서 최대이륙중량(무게별)에 따른 종류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경량비행장치 - 무인멀티콥터(구분) 

    1종 : 최대이륙중량(최이중) 25kg 초과 ~ 자체중량 150kg 이하

    2종 : 최대이륙중량(최이중) 7kg 초과 ~ 25kg 이하

    3종 : 최대이륙중량(최이중) 2kg 초과 ~ 7kg 이하

    4종 : 최대이륙중량(최이중) 250g초과 ~ 2kg 이하

     

     ▶ 알다시피 1종과  2종 자격증 취득 시에만  실기&구술시험 존재

     

    1종과 2종의 취득 절차는 

    (1)필기시험 + (2) 비행전문교육기관(비행 수료) + (3) 실기 & 구술시험 순으로 진행

     

    다른 점은 비행 수료 시간입니다.

    1종은 "전문교육기관"에서 비행한 비행시간 20시간 수료

    2종은 "전문교육기관"에서 비행한 비행시간 10시간 수료

     

    ▶  비행시간을 수료해야 응시자격이 부여됨.

     (3) 실기 & 구술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 비행시간을 우선 채우자

     

    물론 "비행시간" = "실기시험을 위한 비행 연습 시간"입니다. 

    1종의 수료시간만 보더라도 20시간이 많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실기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20시간을 넘어 더 많은 비행시간이 필요하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실기시험 :  세부 실기 훈련방법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1급 조종자격증 세부 실기 훈련방법(순서)

    1. 비행전 점검(기체 점검 및 배터리 장착)

     

    비행준비 : 조종기와 배터리를 가지고 입장

    배터리 장착  : 기체에 배터리 장착

    (중요) 조종기 on : 조종기 전원 스위치 켠다

    배터리 용량 체크 : 6셀(1셀 기준 : 정격전압 3.7V / 6셀 = 22.2V = 16,000mAh)

    기체 점검 : 프로펠러 ▶ 모터  ▶ 붐/암  ▶랜딩스키드 ▶ 메인프레임 순으로 확인

    (중요) 배터리 연결 : 비행체의 좌측 배터리 잭 연결 후 우측 배터리 연결 ▶ 전원 연결 상태 확인

    체크리스트 작성 : 비행점검 목록표 작성

    조종기를 들고 조종자 위치로

     

    2. 비행(조종자 비행조작 및 비행순서)

     

    각 파트별 중요사항 및 주의할 점 ★ ★ ★ ★ ★

     

    (공통사항)

    -처음부터 끝까지 고도 변화가 없을 것(기체가 이륙한 지표면에서 3 ~ 5M 유지)

     

    (1) 이륙 

    -이륙 시 기체 쏠림이 없을 것

    -기수 방향 유지할 것(정면에서 "스키드"가  15도 이상 벗어날 시, 불합격) 

     

    (2) 호버링 위치로

    -H지점에서 A지점(호버링 위치)으로 기체 이동(첫 단추가 중요한 A~E지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중요)

     

    (3) 정지 호버링 실시

    -기수를 좌측으로 90도를 돌려 5초 이상 호버링 유지

    -기수를 우측으로 180도를 돌려 5초 이상 호버링 유지

    -기수를 전방(정면- E지점)을 향하도록 90도 돌려 호버링 유지

    ※ 호버링(제자리에서 정지비행)

     

    (4) 직진 및 후진 비행 실시

    -경로 이탈이 없을 것

    (A지점 "패드"에서 E지점 "패드"까지의 직선상, 우(좌)측 날개가 좌(우)측으로 벗어날 경우 불합격)

    -전진 비행 시, E지점을 초과하지 않을 것

     

    (5) 삼각비행 실시

    -좌(우)측 상승 비행 시, A지점의 지표면을 기준으로 고도 7.5M 높이까지 상승

    (조종자 위치에서 고개가 위로 젖힐 정도로 상승)

     

    (6) 원주비행 실시

    -원주비행 순서 B▶C▶D 또는 D▶C▶B 이륙지점 순으로 비행 진행

    -원주비행 시작부터 끝까지 멈춤 없이 원을 그리며 이동하여야 함(정지 시, 불합격) 

       (원주비행 시, 천천히 일정한 속도  = 방향 수정이 용이함)

    -B와 D지점은 랜딩스키드가 "11자"로 통과 / C지점은  "ㅡ 자"로 통과

     

    (7) 비상조작 

    -기준고도에서 2M 상승

    -평가요원이 "비상" 구호에 따라 1.5배 빠른 속도로 비상 착륙장으로 하강한 후, 비상 착륙장 기준 고도 1M 이내에서

     정지하여 위치 수정 후 즉시 착륙(비상 착륙장 패드 내에 들어와야 인정)

    -하강 시 멈춤이 없을 것(위치 수정을 위해 비상 착륙장 기준 1M 이내까지 정지 인정)

     

    (8) 정상접근 및 착륙 실시

    -비행모드 변경 확인(자세모드로 변경)

    -자세모드는 비행수평자세만 유지되기 때문에 상승부터 착륙장 착륙까지 비행경로를 이탈하지 않기 위해

      조종기 우측 키(전, 후, 좌, 우)는 손 떼지 말고 항상 위치 유지

    -착륙장 이탈 시 불합격

     

    (9) 측풍접근 및 착륙 실시

    -비행모드 변경 확인(GPS모드로 변경)

    -측풍접근 위치로 이동 시 H지점에서 D지점까지 대각선으로 이동

    -측풍접근 시 마찬가지로 D지점에서  H지점까지 대각선으로 이동

    -착륙 후 정지 "비행종료" 멘트 필수

     

    비행 후 점검(비행종료 후 안전점검)

     

    비행 후 점검 위치로 이동하여 배터리 잭 분리 : 우측에서 좌측 커넥터 순으로 분리

    조종기 off : 조종기 전원 스위치를 끄다

    기체 점검 : 프로펠러 ▶ 모터  ▶ 붐/암  ▶랜딩스키드 ▶ 메인프레임 순으로 확인

    배터리 탈착 : 기체에서 배터리를 완전히 분리

    비행일지 기록 

    조종자는 조종기와 배터리를 챙겨서 비행장에서 퇴장

     

    구술시험(자격증 취득의 마지막 평가)

     

    - 조종자의 비행 이론의 중요성 및 이해력에 대한 평가

    - 평가요원과 1대 1 구술면접(보통 5 ~ 6개 정도의 문제 답변)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구술시험 : 시험장 가기 전, 최소 이것만을 알고 가자!

     

    구술시험은 쉽게 말해 암기한 것을 그대로 묻고 답하는 시험이기에

    각 파트별 예상문제에 대한 암기를 철저히 하신다면 누구나 만점 받을 수 있는 시험입니다.

    최다 출제 및 파트별 가장 중요한 문제만 골라 정리하였으니, 아래 문제는 반드시 암기를 권장드립니다.

    기체(비행체)

     

    "무인멀티"와 헬기의 차이점

    → 무인멀티 콥터는 로터(날개)가 2개 이상이고 고정 피치(pitch)를 사용하는 기체이고,

         헬기는 날개의 축이 1개이고 변동 피치(pitch) 사용하는 기체입니다.

     

    피치(pitch) 란?

    →  로터(날개)가 1회 회전하였을 때, 전진하는 거리

     

    변속기(ESC)란?

    → 변속기는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무인멀티콥터의 각종 센서의 종류?

    →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기압 센서, GPS 센서

     

    IMU(관성측정장치) 란?

    관성측정장치로써,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 센서가 3축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체의 자세와 각속도를 측정합니다.

     

    (Li - po) 리튬 폴리머 배터리 보관 및 폐기 방법?

    → 햇빛을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폐기는 배터리를 소금물에 담가 기포가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 후 폐기한다.

     

    조종자

     

    안전성 인증 대상과 인증기관, 종류에 대해 설명하세요

    대상 :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하는 기체

    인증기관 : 항공안전기술원

    안전성 인증 종류 : 초도인증, 정기인증, 수시인증, 재인증

     

    조종사 준수사항에 대해서 말해보시오

    일몰 후 일출 전 비행 금지(야간비행 금지), 육안으로 보이는 거리 내 비행(시계비행),  비행고도 150m 이상 높이 제한

    낙하물투하금지, 인구밀집지역 비행금지, 음주 비행금지

     

    현재 취득하는 자격증 명칭은?

    →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증

     

    공역(비행 특정 범위로 정해진 공간)

     

    비행금지구역에 대해 설명하세요

    → 

    P518 휴전선

    P73 청와대를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

    P61 부산, 고리 원자력발전소

    P62 경주, 월성 원자력발전소

    P63 영광, 한빛 원자력발전소

    P64 울진, 한울 원자력발전소

    P65 대전 원자력 연구소

     

    관제권 & 관제구란?

    관제권 : 비행장 또는 공항, 그 주변의 공역으로, 관제탑 중심으로 반경 9.3km 이내 비행금지구역입니다.

    관제구 : 해수면 지표면으로부터 200m 이상의 높이의 공역입니다.

     

    비행 중 인명사고 시 행동요령?

    인명사고 발생 시, 즉시 119로 연락하여 인명구호를 요청하며,

    사고를 인지한 즉시 관할 지방항공청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 즉시 사고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연락)합니다. 

     

    노탑(NOTAM)이란?

    항공고시보로써

    항공시설, 업무, 절차, 위험시설 신설, 운용상태 및 그 변경에 따른 정보를 수록하여 전기통신수단으로 항공 조종사들에게 배포하는 공고문입니다. 유효기간을 3개월입니다.

     

    일반지식

     

    비상절차란?

    비상상황 발생 시, 즉시 큰소리로 위험상황을 알리고, 비행모드를 수동모드로 변경 후 즉시 안전한 장소에 기체를 착륙시킨 후 정비점검을 실시합니다.

     

    자체중량과 최대이륙중량 차이점은?

    자체중량 : 연료의 무게를 제외한 기체의 중량(무인동력비행장치 : 배터리 무게 포함)

    최대이륙중량 : 기체가 이륙함에 있어서 설계, 운용상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최대 적재 가능한 중량

     

    초경량비행장치란?

    항공기, 경량항공기를 외에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로서 자체중량, 좌석 수 등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기구류 및 무인비행장치 등을 말한다.

     


     

     

    오늘은

    필기 합격 후 실기 & 구술시험에 대비하여 전체 진행 과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막상 실기 준비를 하게 된다면 조종기와 많이 친해지고 조종감을 완벽히

    익히는 것이 파트별 비행 순서를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알고 보면

    실기 때 배우는 모든 내용은 결국 드론촬영, 방제작업 등을 할 때에 필요한 비행

    조작과 연관되기 때문에 비행 기본조작에 충실히 해야 하는 결적정인 이유이기에

    실기 & 구술시험 완벽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자격 취득을 응원합니다!!!

     

     

    2024 드론 자격증(1~4종) 취득방법 알아보기(총정리)

    『 2024 드론 자격증 취득방법 및 합격 Tip 』 여러분 안녕하세요 ~ 얼마 전 뉴스를 통해 수도권에서 드론 택시, 드론 택배가 상용화되어 이용할 수 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현재 해외에서는 AI,

    deungsan.tistory.com

     

    드론 자격증 취득 후 드론 조작 시, 조종자가 지켜야 할 준수사항 ▼

     

     

    무인멀티콥터(드론) 비행금지구역 및 비행가능지역 검색 방법 알아보기(faet. 조종자 준수사항)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드론에 처음 입문하거나 직업이 아닌 취미로 드론을 조종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드론 비행 시, 조종자가 벌금과 과태료 항목을 위반하지 않고 안전한 비행을 위해 지

    deungsan.tistory.com